啐啄同時 (줄탁동시)
뜻
줄(啐)과 탁(啄)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병아리가 알에서 나오기 위해서는 새끼와 어미 닭이 안팎에서 서로 쪼아야 한다는 뜻으로, 가장 이상적인 사제지간을 비유하거나, 서로 합심하여 일이 잘 이루어지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출전
‘줄탁동시’는 ‘오이가 익으면 꼭지가 저절로 떨어진다.’라는 뜻의 ‘과숙체락(瓜熟蒂落)’과 쌍을 이루어 ‘때가 성숙하면 일이 저절로 이루어지며, 기회와 인연이 서로 투합한다.(瓜熟蒂落, 啐啄同時)’라는 뜻으로 쓰이는 말로, 원래 민간에서 쓰던 말인데 송(宋)나라 때 《벽암록(碧巖錄)》에 공안(公案, 화두(話頭))으로 등장하면서 불가(佛家)의 중요한 공안이 되었다.
「경청(鏡淸)은 항상 줄탁지기(啐啄之機)로 후학들을 깨우쳐 주었다. 그는 일찍이 대중들에게 말했다. “행각하는 사람(사방을 떠도는 중)은 반드시 줄탁동시의 눈을 가져야 하고 줄탁동시의 씀을 가져야 비로소 승려라 할 수 있다. 마치 어미가 밖에서 쪼려고 하면 새끼가 안에서 쪼지 않을 수 없고, 새끼가 안에서 쪼려고 하면 어미가 밖에서 쪼지 않을 수 없는 것과 같다.”(鏡淸常以啐啄之機開示後學. 曾示衆說, 大凡行脚人, 須具啐啄同時眼, 有啐啄同時用, 方稱衲僧. 如母欲啄, 而子不得不啐, 子欲啐, 而母不得不啄.)」
알 속에서 자란 병아리가 때가 되면 알 밖으로 나오기 위해 부리로 껍데기 안쪽을 쪼는데 이를 ‘줄’이라 하며, 어미 닭이 병아리 소리를 듣고 알을 쪼아 새끼가 알을 깨는 행위를 도와주는 것을 ‘탁’이라고 한다. 병아리는 깨달음을 향하여 앞으로 나아가는 수행자요, 어미 닭은 수행자에게 깨우침의 방법을 일러 주는 스승으로 비유할 수 있다. 안과 밖에서 쪼는 행위는 동시에 일어나야 하는데, 스승이 제자를 깨우쳐 주는 것도 이와 같아, 제자는 안에서 수양을 통해 쪼아 나오고 스승은 제자를 잘 보살피고 관찰하다가 시기가 무르익었을 때 깨우침의 길을 열어 주어야 하는데, 이 시점이 일치해야 비로소 진정한 깨달음이 일어난다.
*출처 <다음 백과사전>
*
데미안의 그 유명한 구절.
"새는 알을 까고 나온다. 알은 세계다. 태어나려는 자는 한 세계를 파괴해야 한다. 새는 신에게로 나아간다"
선생님께서 "도약"이란 말씀을 하셨다.
도약이란 한 단계에서 윗단계로 뛰어오르는 일...
그것은 한 세계를 파괴해야만 되는 일인지도 모른다.
어제 오늘, "啐啄"이라는 말을 생각한다.
병아리가 알을 깨고 나올 때는 어미 닭이 밖에서 부리로 쪼아줘야 한다는 뜻.
여기서 중요한 것은 어쩌면 어미 닭에 대한 절대적 신뢰가 아닐까.
나의 소리에 귀기울이며 밖에서 어미닭이 기다려주고 있을 거라는 믿음.
그런 믿음이 있다면
병아리는 한 세계를 파괴하기 위해 의심없이 계속 부리로 쪼아댈 것이니...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랑이란 보살피는 것입니다./ <머물지 말고 흘러라>중에서 (0) | 2015.11.19 |
---|---|
대립적인 존재로 보이는 것들은 결국 한 점으로.../ 젊은 시인에게 보내는 편지 中 (0) | 2015.11.16 |
타인의 인정에 목마르지 않게 되었을 때.../<매달린 절벽에서 손을 뗄 수 있는가>중에서 (0) | 2015.11.03 |
학습의 효과는 따로 있다 / '니체의 말' 중에서 (0) | 2015.10.29 |
내 몫이 아니어서 감당할 수 없을 것만 같은... / 청춘착란 중에서 (0) | 2015.10.28 |